[저작자] by Jared and Corin, flickr (CC BY-SA)
[이미지 출처] https://www.flickr.com/photos/redjar/113026147/in/photostream/ (CC BY-SA)
거대한 산사태는 처음에 어떻게 시작될까? 아마도 산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서 시작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작은 움직임에서 시작될 것이다. 지나가던 토끼가 발을 헛딛어서 생긴 작은 움직임이 작은 눈덩이가 되고, 계곡을 타고 내려오면서 기하급수적으로 거대해지는 그림을 상상해 보자.
우리가 흔히 듣게 되는 비판 중의 하나는, ‘해결중심치료는 피상적이다(superficial)’ 라는 것이다. 해결중심치료에서는 내담자의 과거 경험을 샅샅이 파헤치거나 인격을 분해해서 다시 조립(?)하는 ‘심층적인’ 치료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대신 아주 작은 하나의 성공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하고, 작은 변화가 나타났을 때 이것을 대단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에 대한 우리의 답변은, ‘해결중심치료에서는 내담자를 바라보는 관점이 완전히 다르다’ 는 것이다. 해결중심치료에서는 반드시 원인을 밝혀 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내담자가 만들어 내는 작은 성공 경험이 좀 더 큰 성공으로 이어지고 결국에는 눈사태처럼 거대한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본다.
[For my international friends]
How does happen a huge avalanche? Maybe, at first, it would be a little change on the top of a mountain. A little change made by a small rabbit could make a snow ball, and it could make more bigger movement of snow, finally it could be a huge avalanche. I think the view of SFBT is like this story.
SFBT is not just superficial. It just focus on making a little positive change. Why? Because it could make a huge change in our clients’ life.
'해결중심치료 관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ients have the inherent strengths and resources! (0) | 2015.02.06 |
---|---|
Every client is unique! (0) | 2015.02.06 |
Half-open questions! (0) | 2015.02.04 |
Not-knowing stance (0) | 2015.02.01 |
Leading from behind - 오리 가족 (6) | 2015.01.29 |